동두천치과
- (미술작품 관람의 평균 시간) 성인으로 보이는 150명의 관람객은각 그럼 당 평균 27.2초 동안 감상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. / 함께 온 지인이 많을수록 감상 시간이 길었다. 재감상 시간까지 포함하여 단독 감상(46.2초), 2인 감상(53.3초), 3인 이상 감상(73.4초) 순으로 길었다.* 그림 감상의 본질적 이유- 그림 속인물이 '못생겨진'결정적 시기는 1900년대 초표현주의가 등장하면서부터다.- 누군가와(아이 제외) 함께 미술작품을 감상하면 하나의 작품을 더 길게 본다는 점에 동의한다. 감흥,이해를 공유하며 함께 걷는미술관- 참으로 좋은 데이트 코스. :)감상의 심리학리뷰- 저서 : <감상의 심리학>,<차트의 유혹>,<심리학개론> 등- 컬러 도판의 그림을 다양하게 실어서 바로바로예시 그림을 보면서 내용을 이해하기 좋다. / 담백하고 가벼운종이 질감(미끌대며 빛에 번뜩이지 않는다)과컬러 발현이 좋다(선명하게 잘 나왔다).5.개념의 시대 : 1950년대~, 대상이 아닌 개념을 표현, 아이디어 창안이 중심, 감상자의 개입 자체도 작품의 일부 ex. 백남준3.감정적 정화와 재충전: 일상의 스트레스 해소, 감상자의 과거와 현재의 반추 기회- 여러 가지행동 심리 연구 결과를 더했다. 우리가 보통 미술관에서 1 작품당 얼마나 바라보는지(1분도 안된다), 언제 감동하는지(나와 연관 있는, 내 과거 경험과 감정 연동) 등에 대한 답을 들려준다.- 1, 2, 3단계는 나이(교육)과 병행해 발달, 4, 5단계는 다양하고 깊은 경험 기반내용- 표현 도구로 볼 때 그림은 영화, 드라마, 연극 같은 시간예술(인물의 동작, 표정, 대화뿐만 아니라 현란한 음악과 빛의 도움)에 비해 매우 불리하다.1단계.편애 : 미취학아동들, 자기중심적, 그림에 자기가 좋아하는 특징이나 대상이 있으면 선호2.인지적 탐색과 통찰 : 관찰자는 다양한 생각, 지적 탐색, 새로운 관점과 통찰 습득감상의 심리학- 그림 감상과 관련 깊은 성격 :경험 개방성(새로운 일에 대한 높은 호기심, 풍부한 상상력과 아이디어, 자기 감정에 대한 높은 인식력, 형식적인 것을 부정적으로 여김)이 높을 수록 그림 감상에서 느끼는 즐거움이 크다.2.표현의 시대 : 르네상스~19세기, 아름다움과 감정(특히 감동)의 표현 중심, 신화 성경 전쟁 등 표현 ex.카라바조- 어떤 분야에 대해 대중의 관점에서, 대학 교양수업 정도의 내용은 정말 유용하다. 일반적인 개념을 체계적으로 잡아주고 충분한 실례를 알려주기에 그기본교양 내용만 알아도 평생 도움받는 정도.감상의 심리학- 예술이 이뤄낸 가장 큰 업적 중 하나는예술적 아름다움에 대한 자각이다. / 실세계 아름다움은 대체로 외적인 특징에 기반한다(대칭, 비례, 피부결 같은 객관적 측정 가능 요소와 연관) / 반면 예술적 아름다움은스타일, 표현, 그리고 감정적 깊이에 더 큰 비중을 두며, 종종 주관적이고 측정이 어려운 특징을 지닌다.- 어떤 사람들이그로테스크한 그림을 좋아할까? / (200명 성인 대상 연구) 경험에 대한 개방성과 감각 추구 경향이 높고, 예술적 지식이 많고, 좌파적 정치 성향이며, 여성보다 남성일 경우 그로테스크를 더 선호했다.- (사물을 "선"으로 표현)라인 드로잉은 단순히 밝기와 색 변화만을 근거로 한 게 아니라높은 수준의 지각과 인지 처리를추가로 거친 결과물이다. 따라서 화가의 라인 드로잉은 단순히 대상의 윤곽을 재현한 것이 아니라주관이 개입한 창작물로 봐야 한다.4단계.스타일과 형식: 그림 스타일과 형식에 관심, 회화의 문체적, 역사적 관계의 의미 발견감상의 심리학- (그림 속의 성차별) 여성은 남성에 비해 훨씬 관능적으로 묘사되는 경향이 있다. / 미국 연구진이 600여 년 간의 초상화 920점을 대상으로 얼굴이 얼마나 크게 그려졌는지(face-ism = 얼굴길이/몸 총길이)의 개념을 고안했다. / (face-ism : 여성 0.32, 남성 0.42)여성이 얼굴보다는 몸이 더 많이그려졌다는 의미다.* 미술의 역사 구분- 부제 : 예술 작품을 볼 때 머릿속에서는 무슨 일이 벌어질까?
동두천치과